공부노트/JavaScript

[JavaScript] 연산자

Reload0213 2021. 9. 25. 22:32

1. 비교 연산자 "   > ,  <  ,  <=  , >=  "

 

- 두개 값 사이의 대소 비교를 통해서 대소 비교의 결과 값을 Boolean 값인 true/false로 출력하는 연산자.

- 반드시 결과 값은 true 혹은 false로 나온다.

- > f12 를 눌러 console창에서 result값 확인

 

2. 동등연산자 " == "

        

- 양 변의 두개의 값을 비교하여 값이 같으면 true 아니면 false를 나타내는 연산자.

- 하지만 동등 연산자는 타입을 비교하지 않고, 값이 같으면 true으로 인식을 한다.

- 전혀 다른 타입에 다른 상황이어도 이 값을 형변환 하여 선언할 시 비교할 대상의 값과 동일하다면 무조건

  true으로 인식을 하게 된다.

- true으로 인식하게 되는 케이스도 상당히 많이 존재하므로 맨 처음 자바스크립트를 입문하게 되는 사람들에는

어려운 과제로 남을 수 밖에 없다.

- > f12 를 눌러 console창에서 result값 확인

 

3. 일치 연산자 " === "

    

- 일치 연산자는 기존의 동등 연산자가 확인하지 않는 타입까지 비교하여 타입과 값 둘 다 맞으면 참 아니면 거짓출력 하는 연산자.

- 기존의 동등 연산자의 역할이 일치 연산자에 의해 많이 축소되기는 했으나 아직까지 많은 곳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 > f12 를 눌러 console창에서 result값 확인

 

4. 부등 연산자/불일치 연산자 "  != , !== "

 

- 연산을 하다보면 이것이 '같다'라는 이야기 보다 '같지 않다'라는 요청이 더 많이 들어올 때가 있다.

- 연산을 통해서 '같지 않다'라는것에 대한 결과값을 boolean으로 얻고자 할 경우 쓰는것이 부등, 불일치 연산자이다.

- 기존 부등 연산자는 동등 연산자와 동일하게 값만을 가지고 동등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며 동등할 시 false, 아닐 경우       true를 반환한다. 

- 불일치 연산자는 일치 연산자와 동일하게 값과 타입을 판단하여 두개 다 일치하면 true, 아니면 false를 반환한다.

- > f12 를 눌러 console창에서 result값 확인        

 

 5. And 연산 " && "

 

- 양 변이 모두 true 이면 true, 아니면 false

- and 연산은 모든  경우의 수 혹은 값의 결과가 모두 true일 때 true 아니면 false 를 나타내는 연산.

- and 연산의 좌변 우 변에 위치할 수 있는 값은 불리언 형태의 값 혹은 boolean 값을 출력할 수 있는 식이 된다.

- > f12 를 눌러 console창에서 result값 확인

 

 6. or 연산 "  ||  "

 

- 양 변중 하나라도 true 면 true 아니면 false

영쪽 변의 하나라도 true가 발생하면 모두 true그렇지 않않고 모두false가 나오면 무조건 false를 리턴한다. 여러 사업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다.

- > f12 를 눌러 console창에서 result값 확인

 

7.  not 연산 (" ! "x)

 

리턴 값을 반대로 하는 함수

- > f12 를 눌러 console창에서 result값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