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변수
변수
- 단 하나의 값만을 지정할 수 있는 공간
- 자바 스크립트와 공통적인 부분은 하나의 값만을 저장할 수 있다는 것.
- 하지만 자바스크립트 보다 정적으로 동작하고 정적으로 데이터를 받는다.
- 여기서 정적으로 데이터를 받는다는건 정해진 규칙 하에 데이터를 핸들링 한다는 뜻.
- 가령 예를들어 해당 변수를 타입이 int면 무조건 정수형 데이터만 가질 수 있고 나머지는 가질 수가 없다.
변수의 선언
- 변수 선언시에는 반드시 [변수 타입, 변수 명, 초기화] 값이 들어간다.
- 이 세개 중 하나라도 빠지면 에러가 발생한다.
- 초기화 값은 반드시 변수 타입에서 받을 수 있는 값이 들어가 주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에러가 발생한다.
- 초기화는 나중에 해도 되지만 변수 초기화 전에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호출할 경우 에러가 발생한다.
변수의 종류
정수형
- 정수를 받는 변수형
- 정수형에는 모두 4개의 자료형이 존재한다(byte, short, int, long)
- 각각의 크기는 byte가 가장 작고 long이 가장 크다.
- 10진수 외에도 16진수 혹은 8진수로도 변수에 저장이 가능하다.
- 정수형 변수들은 자신이 저장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면 에러가 난다. 강제 형변환까지 병행할 경우
의도치 않는 수가 나온다.
- long형은 인자 뒤에 L값을 넣어야 하지만 자동 형변환으로 인해 넣지 않아도 크게 관계가 없다.
- 정수형의 기본 타입은 int형이다.
실수형
- 실수형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타입
- 실수형에는 두가지 자료형이 존재하고(float, double) 기본형은 double이다.
- float 형이 4바이트고 double 형이 8 바이트가 된다.
- float형은 값을 할당 시 뒤에 f를 붙여준다. 만약 안 붙을 시에 할당 값은 double형으로 인식되어 에러가 난다.
- double형도 값을 할당 시 원래 뒤에 d를 붙여야 하지만 안붙여도 상관이 없다.
- 모든 소수의 기본형은 double형이다.
- 실수형 타입은 지수형 데이터도 삽입이 가능하다.
문자형
- char가 유일한 문자형
- 변수는 한 글자만 가능
- 숫자를 형변환을 통해 문자로 변환 가능하다.
- 아스키코드, 유니코드 문자 둘다 가능하다.
- 특수문자도 하나의 문자로 저장 가능하다.
- 유니코드 숫자를 넣기 위해서 숫자 앞에 0x를 붙여 16진수의 숫자를 형변환하여 넣는것이 가능하다.
논리형(boolean)
- boolean 타입으로 변수를 선언할 수 있다.
- 값은 오직 true, false
- 논리 구현에 주로 사용됨
문자열(String)
- 참조형 변수이지만 기본형처럼 많이 쓰임
- 다양한 곳에서 자주 이 변수가 쓰인다.
- 문자열 변수는 ""를 쓰는 값을 기본으로 가져가며 문자열을 담을 수 있는 변수
- 문자열과 문자열간의 합을 통해 문자열을 합칠 때는 +인 결합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