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기 3

[JavaScript] innerHTML vs innerText vs textContent

비슷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세 가지 속성 innerHTML, innerText, textContent 세가지의 차이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innerHTML vs innerText vs textContent 눈으로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예시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1. innerHTML innerHTML은 'Element'의 속성으로, 해당 Element의 HTML, XML을 읽어오거나, 설정할 수 있습니다. 위 예제에서 'innerHTML' 버튼을 클릭하면, div안에 있는 HTML 전체 내용을 가져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div의 내용을 Ctrl+C하여 클립보드에 복사한 내용을 가져온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2. innerText innerText는 'Elemen..

[JavaScript] Arrow Function(화살표 함수)

Arrow 함수 - 화살표 함수는 기존에 있던 function의 익명 선언 방식을 축약한 것이다. - 화살표 함수는 익명 함수이며 사용할 경우는 두 가지 경우가 있는데 하나는 단 한번만 사용하는 콜백함수에서 사용되거나 변수에 할당하여 사용할 경우 두가지 케이스가 존재한다. - 화살표 함수를 축약하는 방식은 상황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으로 축약이 가능하며 각 상황에 맞추어 축약하지 않을 경우 에러가 발생한다. 1) 화살표 함수(Arrow function)으로 변환방법 및 법칙 1-0. 기본형 const funcA = function(one, two){ return one + two; } console.log(funcA(2,3)); 1-1. " function " 을 생략하고 " => " 로 간단하게 대체가능..

[JavaScript] This (공식화)

This 태그 - this 키워드는 자기 자신을 가리키고자 할 때 쓰이는 키워드 - 자기 자신이라 함은 현재 위치에서 바인딩 즉 연결되는 바로 위 상위 객체를 의미한다. - 하지만 this의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 바인딩 되는 곳이 달라지므로 this의 원리를 이해하고 쓰기보단 그냥 어디에 this가 쓰였을 때 여기를 가리킨다 라는 공식처럼 외우는 것이 편하다. (고 하여 다른 게시글이나 자료를 통해 이해해보려고도 하였으나 역시 쉽지 않아 수학에서도 종종 이런 경우가 있었기 에 그 방법으로 한번 해보려합니다.) 대표적인 this 위치에 대한 바인딩되는 객체는 다음 아래와 같다. 1. 아무것도 없는 단순 로직 상에서의 this는 최상위 객체인 window를 가르킨다. 2. 함수(function) 2-1.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