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 5

[JSP] Redirect , Forward (둘은 무엇이며, 각각 언제 사용할까?)

Redirect & Forward (Redirect와 Forward의 차이) JSP환경에서 현재 작업중인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두 가지 방식의 페이지 전환 기능이다. 1. Forward 예시 ) 1) 고객이 고객 센터로 상담원에게 070-1234 으로 전화를 건다. 2) 상담원은 해당 문의사항에 대해 잘 알지 못하여 옆자리에 있는 다른 상담원에게 문의사항에 답을 구한다. 3) 고객은 전화를 끊지 않은채로 옆에서 자문을 얻은 상담원에게 문의사항을 해결 받는다. Forward의 경우 - web container 차원에서의 페이지 이동, 실제로 웹 브라우저는 다른 페이지로 이동했는지 알 방법이 없다.( 두번째 사례의 경우, 고객은 첫번째 상담원이 누구한테 다시 문의사항을 물어봤는지는 알 수 없다...

공부노트/JSP 2021.12.10

[JSP] JSTL 정리

JSTL (JSP Standard Tag Library) JSP 개발을 단순화하기위한 태그 library 장점 빠른 개발 -> JSP를 단순화하는 많은 태그를 제공 코드 재사용성 -> 다양한 페이지에서 JSTL 태그 사용 가능 스크립틀릿 태그를 사용할 필요가 없음 (스크립틀릿 태그를 사용하지 않음) JSTL tag 태그 이름기술 core tags 변수 지원, URL 관리, 흐름 제어 등을 제공, URL은 http://java.sun.com/jsp/jstl/core , 접두사는 c function tags 문자열 조작 및 문자열 길이를 지원, URL은 http://java.sun.com/jsp/jstl/functions , 접두사는 fn formatting tags 메시지 형식화, 번호 및 날짜 형식화 등..

공부노트/JSP 2021.12.07

[JSP]MariaDB의 JDBC 연결

본격적으로 백엔드쪽 공부를 시작하며, DB설계 및 연동하는 방법을 배워가는 중인데, MariaDB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연동하는 방법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import java.sql.Connection; import java.sql.DriverManager; import java.sql.PreparedStatement; import java.sql.ResultSet; import java.sql.SQLException; public class MainEntr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nection co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try { Class.forName..

공부노트/JSP 2021.12.07

[JSP] MVC 패턴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사이트를 사용하기 위해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처리해주어야 한다. 프론트엔드에 쓰이는 html, css, js 등은 웹 서버에서 처리해주고, DB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java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처리해준다. Web Application Architecture JSP 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 아키텍트는 크게 model1과 model2로 나뉜다. 1) JSP 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logic처리와 response page(view) 에 대한 처리를 모두 하는지, 2) response page(view) 에 대한 처리'만' 하는지가 가장 큰 차이점이다. model1 Model1 구조 model2은 view와 logic을 JSP 페이지 하나에서 처리하는 구조..

공부노트/JSP 2021.12.05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데이터 화면 및 출력

자바스크립트 데이터 화면 및 출력 내용 변경 *● document.write( ) * : ()안에 것을 화면에 출력시키는 method ●w**indow.alert() ** : 경고(알림)창을 띄워 ()안의 것을 출력시키는 method ●*innerHTML=" " * : 예를 가지고 이해하는 것이 빠르다. 예를 들어 HTML로 [ 피카츄 ]이라는 콘텐츠를 화면에 출력하였다. 이 HTML 요소에 접근하여 [ 피카츄 ]을 [ 라이츄 ]으로 바꿔 출력하게 만들려면 이 innerHTML=" " **속성을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HTML 요소에 접근하려면document.getElementById**메서드를 함께 사용한다. 기본의 피카츄를 출력하는 HTML 요소의 id인 "pikachu"로 접근하여 **inner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