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1

[Java] 배열(Array)

배열 - 하나의 변수 안에 연속된 여러개의 공간을 갖고 있는 변수 - 같은 타입의 값 여러개를 하나의 변수에 가질 수 있다. -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 - 많은 양의 같은 타입의 데이터를 다룰 때 유리하다. - 배열의 각 요소는 연속적이다. - 배열의 각각의 요소를 인덱스라는 숫자를 이용해 구분하여 배열에 저장한다. - 인덱스라는 숫자를 활용해서 배열에 접근하거나 아니면 배열안에 있는 데이터를 호출할 수 있다. 배열의 선언 방식 - 배열은 일반 변수에 []을 붙여 선언할 수 있다. - []의 위치는 타입뒤에 붙여도 상관이 없고, 변수 뒤에 붙여도 상관이 없다. 공간 선언 방식 - 배열에 값을 직접적으로 넣지 않고 공간만 선언하는 방식을 공간 선언 방식이라고 한다. - 배열에 ..

공부노트/Java 2021.11.03

[Java] 반복문 if, switch~case, while, for

조건문 - 로직의 분기를 태울 경우 사용하는 문장 - java에서 사용되는 조건문으로 if와 switch-case 문장이 존재한다. - 로직의 분기를 통해 상황에 따라 다른 로직을 실행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문장 if - 조건식에 따라서 다른 로직을 태울 경우 사용하는 문장 - if문은 단순 if문, if~else문, 중첩if문, if~else if~else문이 존재한다. - if문은 조건에 따른 로직의 분기를 매우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되는 로직 중 하나이다. switch~case - 기본의 if~else if~else문을 대체할 수 있는 조건문 - switch~case문은 동등 비교만 가능하며 switch 문에 변수, 혹은 값만이 사용이 가능하다. - 비교문을 통한 결과에 따라 분기를 할 ..

공부노트/Java 2021.11.02

이클립스 단축키 정리

* Ctrl + L : 원하는 라인으로 이동 * Ctrl + D : 줄 삭제 * Ctrl + I : 자동 들여쓰기, 인덴트 중심의 자동구문정리 * Alt + Shift + 방향키 : 블록선택하기 * Ctrl + Shift + / : 주석처리 (Ctrl + Shit + \ 주석 풀기) , 형태 : * Ctrl + / : 라인별로 주석처리, 형태 : // * Ctrl + M : 소스창 전체화면 전환 * Ctrl + Alt + 위/아래 : 줄 복사 * Ctrl + Shift + Enter : 현재 줄에 새줄 추가 * Shift + Enter : 다음줄에 새줄 추가 * Ctrl + H : 검색 다이얼로그(메서드, 타입, 패키지 등 검색 가능) * Tab : 들여쓰기 (Shift + Tab : 내어쓰기) * Sh..

카테고리 없음 2021.10.30

[Java] 변수

변수 - 단 하나의 값만을 지정할 수 있는 공간 - 자바 스크립트와 공통적인 부분은 하나의 값만을 저장할 수 있다는 것. - 하지만 자바스크립트 보다 정적으로 동작하고 정적으로 데이터를 받는다. - 여기서 정적으로 데이터를 받는다는건 정해진 규칙 하에 데이터를 핸들링 한다는 뜻. - 가령 예를들어 해당 변수를 타입이 int면 무조건 정수형 데이터만 가질 수 있고 나머지는 가질 수가 없다. 변수의 선언 - 변수 선언시에는 반드시 [변수 타입, 변수 명, 초기화] 값이 들어간다. - 이 세개 중 하나라도 빠지면 에러가 발생한다. - 초기화 값은 반드시 변수 타입에서 받을 수 있는 값이 들어가 주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에러가 발생한다. - 초기화는 나중에 해도 되지만 변수 초기화 전에 변수를 사용하기 위..

공부노트/Java 2021.10.27

[Java] System.out.print

1. Println println : 한줄 개행하여 출력할 경우 사용 2. Print print : 출력을 하지만 개행을 하지 않는다. 만약 개행을 하기 위해서는 /n을 이용해서 개행을 해야 한다. 3. Printf printf : 출력을 하지만 개행을 하지 않는다. 특이한 점으로는 지시자를 사용한다. 지시자란? - 외부에 있는 변수 혹은 값을 출력하고자 할 경우 어떤 타입의 값을 어디에 출력할 것인지를 정할 때 지시자를 사용할 수 있다. - 지시자를 사용함으로써 좀 더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해진다. - 지시자를 이용하지 않고 결합 연산자를 사용하여 변수를 출력할 수 도 있다. - 지시자의 종류 - %b : 논리형 - %d : 10진수 - %o : 8진수 - %x : 16진수 - %f : 실수..

공부노트/Java 2021.10.27

[jQuery] animate 및 관련 메서드 queue , dequeue ,clearqueue, Stop

animate 애니매이션을 적용시키고 싶을 때 사용 (선택객체).animate( {변경할 디자인} , 애니매이션 작동시간(ms) , 타이밍(진행 속도), 애니매이션이 완료 되었을때 동작하는 콜백 함수 ) queue - 특정 요소에서 애니매이션이 실행되는 순서로 저장되어 있는 공간 - queue에 저장된 목록에서 순번대로 애니매이션을 하니씩 꺼내어 실행하게되고, 실행된 애니매이션은 제거된다. queue() - 큐에 대기중인 함수를 반환하거나 새로운 함수를 추가한다. - 하지만 queue() 메서드를 animate() 중간에 추가하게되면 queue()메서드가 추가된 곳까지만 실행이되고 그 뒤에 대기중인 대기열은 자동 취소가 된다. - 위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게 위해 dequeue() 메서드를 추가해 주면 애..

공부노트/jQuery 2021.10.15

[JavaScript] innerHTML vs innerText vs textContent

비슷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세 가지 속성 innerHTML, innerText, textContent 세가지의 차이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innerHTML vs innerText vs textContent 눈으로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예시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1. innerHTML innerHTML은 'Element'의 속성으로, 해당 Element의 HTML, XML을 읽어오거나, 설정할 수 있습니다. 위 예제에서 'innerHTML' 버튼을 클릭하면, div안에 있는 HTML 전체 내용을 가져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div의 내용을 Ctrl+C하여 클립보드에 복사한 내용을 가져온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2. innerText innerText는 'Elemen..

[JavaScript] foreach와 for in , for of 반복문

foreach foreach 반복문은 오직 " Array " 객체에서만 사용가능한 메서드입니다.(ES6부터는 Map, Set 등에서도 지원됩니다) 배열의 요소들을 반복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foreach 구문의 인자로 callback 함수를 등록할 수 있고, 배열의 각 요소들이 반복될 때 이 callback 함수가 호출됩니다. callback 함수에서 배열 요소의 인덱스와 값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let arr1 = ['item1', 'item2', 'item3']; items.forEach(function(item) { console.log(item); }); //: item, item2, item3 for …in 반복문 for in 반복문은 객체의 속성들을 반복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

[JavaScript] Arrow Function(화살표 함수)

Arrow 함수 - 화살표 함수는 기존에 있던 function의 익명 선언 방식을 축약한 것이다. - 화살표 함수는 익명 함수이며 사용할 경우는 두 가지 경우가 있는데 하나는 단 한번만 사용하는 콜백함수에서 사용되거나 변수에 할당하여 사용할 경우 두가지 케이스가 존재한다. - 화살표 함수를 축약하는 방식은 상황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으로 축약이 가능하며 각 상황에 맞추어 축약하지 않을 경우 에러가 발생한다. 1) 화살표 함수(Arrow function)으로 변환방법 및 법칙 1-0. 기본형 const funcA = function(one, two){ return one + two; } console.log(funcA(2,3)); 1-1. " function " 을 생략하고 " => " 로 간단하게 대체가능..

[JavaScript] This (공식화)

This 태그 - this 키워드는 자기 자신을 가리키고자 할 때 쓰이는 키워드 - 자기 자신이라 함은 현재 위치에서 바인딩 즉 연결되는 바로 위 상위 객체를 의미한다. - 하지만 this의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 바인딩 되는 곳이 달라지므로 this의 원리를 이해하고 쓰기보단 그냥 어디에 this가 쓰였을 때 여기를 가리킨다 라는 공식처럼 외우는 것이 편하다. (고 하여 다른 게시글이나 자료를 통해 이해해보려고도 하였으나 역시 쉽지 않아 수학에서도 종종 이런 경우가 있었기 에 그 방법으로 한번 해보려합니다.) 대표적인 this 위치에 대한 바인딩되는 객체는 다음 아래와 같다. 1. 아무것도 없는 단순 로직 상에서의 this는 최상위 객체인 window를 가르킨다. 2. 함수(function) 2-1. 일..